재산세 납부하는 여러가지 방법

매년 7월과 9월에 우편함을 보면 재산세 고지서가 들어있습니다. 세금 고지서는 받을 때마다 사실 반가운 게 아닌데, 납세의무를 가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다 내야 하죠. 오늘은 이 재산세를 어떻게 납부할 수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재산세란?

백과사전에서 정의하기로 재산세는 일정한 재산에 대하여 부과하는 조세라고 되어 있습니다. 그리고 재산세는 지방세 중 구세 및 시군세이며 보통세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대부분의 일반인이 납부하는 주택분 재산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  

 

주택분 재산세는 7월, 9월에 각각 50%씩 부과가 됩니다. 납부해야 할 재산세가 50만원이라 가정하면 7월에 25만 원 9월에 25만 원을 내는 방식입니다.

 

 

재산세 납부 방법 및 종류

재산세를 납부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재산세 고지서 뒷면을 봐도 상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는데요. 생각보다 납부할 수 있는 방법이 많아서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 드리겠습니다.

 

 

인터넷 납부

대표적으로 위택스와 인터넷 지로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지자체별로 별도 운영되는 사이트를 통해 납부할 수도 있는데요. 부산광역시의 경우 부산시 사이버지방세청을 통하여 납부가 가능합니다. 인터넷 납부의 장점은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 그리고 앱카드 및 각정 전자 페이를 통해서도 납부가 가능합니다.

 

인터넷 납부는 경우에 따라 공동인증서(공인인증서)가 있어야만 로그인이 되고 재산세를 조회 후 납부할 수 있으니 미리 공동인증서를 준비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전화납부

1544-1414를 통해 납부할 수 있으며, 전자납부번호 또는 주민번호를 통해 조회 및 납부가 가능합니다. 이때도 신용카드로 결제를 할 수 있으며 핸드폰 소액결제도 가능합니다. 인터넷 사용이 어렵거나 환경이 미비한 경우 급하다면 전화를 통해 납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.

 

지방세입 및 가상계좌 납부

고지서를 보면 전자납부번호가 있습니다. 재산세 고지서를 가지고 은행에 방문하면 창구에서 재산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.

 

은행 어플

가장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는 방법은 은행 어플인 것 같습니다. 거래하고 있는 주거래 은행 어플을 보면 지방세를 납부할 수 있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 첨부된 이미지는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어플을 캡처했습니다. 은행 어플 별로 메뉴의 위치는 조금 다를 수 있는데, '공과금'이라는 메뉴를 찾으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그밖에 무인수납기나, 은행 ATM, 편의점에서 재산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.

 

가장 선호하는 재산세 납부 방식은 은행어플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, 상단에 설명된 메뉴로 접근을 하면 30초 이내에 재산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재산세를 포함하여 각종 공과금을 납부하는 데 있어 은행 어플을 선호하는 이유는 생체인증이 되어 있어 로그인이 편하기 때문입니다. 만약 생체인증이 없고 공동인증서로 로그인을 해야 한다면 위택스나 크게 다를 바는 없습니다.

 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